장으로부터 시작되는 토탈 웰빙 라이프

Holistic Wellness

논문

RAW 264.7 세포와 마우스 비장세포에서 Th1과 Th17에 대한 유산균 사균체 Lactobacillus plantarum의 면역 증진 효과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2-11-14 17:40
조회
57

RAW 264.7 세포와 마우스 비장세포에서 Th1Th17에 대한 유산균 사균체 Lactobacillus plantarum의 면역 증진 효과

이현아1,2, 김현웅3, 이광원2, 박건영1*

1부산대학교 김치연구소, 2고려대학교 생명공학과, 3바이오제닉스코리아(주)

 

Dead Lactobacillus plantarum Stimulates and Skews Immune Responses toward T helper 1 and 17 Polarizations in RAW 264.7 Cells and Mouse Splenocytes

Hyun Ah Lee1,2, Hyunung Kim3, Kwang-Won Lee2, and Kun-Young Park1*

1Kimchi Research Institute,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46241, Republic of Korea

2Department of Biotechnology, College of Life Science and Biotechnology, Korea University, Seoul 02841, Republic of Korea

3Biogenics Korea Co., Ltd., Seoul 06125, Republic of Korea

 

이 연구는 nLp의 면역증진 효능을 마우스 대식세포 RAW 264.7 세포주와 마우스 비장세포를 통해서 확인하였다. nLp는 김치(한국의 전통 발효 식품)에서 분리된 크기가 1.0 μm 이하로 김치에서 분리한 Lab. plantarum을 나노 및 사균화 처리한 형태이다. 그 결과, nLp는 생균(pLp)보다 마우스 대식세포에서 nitric oxide의 생성을 더 촉진시켰으며, 이는 세포질 성분보다는 특히 세포벽 성분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마우스 비장세포에서도 nLp 처리군이 pLp 처리군에 비해 세포의 증식을 더 촉진시켰다. 특히, 고용량의 nLp (1.0 × 10^11 CFU/mL)는 2μg/ml의 lipopolysaccharide만큼 증식을 자극하였다. 더욱이, nLp의 처리가 마우스 비장세포에서 사이토카인 발현양상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확인한 결과, nLp는 Th1 (TNF-α, IL-12p70)의 분비를 증가시켜 면역반응을 유도하였으나, Th2 (IL-4, IL-5)의 분비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거나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Th2 면역반응을 억제하였다. 또한 Th17 (IL-6, IL-17A)의 분비를 촉진하여 면역반응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nLp는 pLp 에 비해 면역증진 효능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그 중 특히 Th1 및 Th17 면역반응을 더 촉진하는 것을 확인하여, Th2 면역반응에 편향되어 나타나는 알러지, 천식, 암 발생을 완화시켜주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 Key words: Dead nano-sized Lactobacillus plantarum, nitric oxide, RAW 264.7 macrophages, splenocyte, Th1/Th2/Th17 cytokines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