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으로부터 시작되는 토탈 웰빙 라이프

Holistic Wellness

논문

Azoxymethane과 Dextran Sulfate Sodium로 대장암이 유도된 C57BL/6J 마우스에서 유산균 사균체 Lactobacillus plantarum을 첨가한 김치의 항암 효과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2-11-14 17:28
조회
44

AzoxymethaneDextran Sulfate Sodium로 대장암이 유도된 C57BL/6J 마우스에서 유산균 사균체 Lactobacillus plantarum을 첨가한 김치의 항암 효과

이현아1, 김현웅2, 이광원1, 박건영3,4*

1고려대학교 생명공학과, 2바이오제닉스코리아(주), 3충칭교육대학교 기능성식품 충칭 협력현신센터, 4차의과학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Dietary Nanosized Lactobacillus plantarum Enhances the Anticancer Effect of Kimchi on Azoxymethane and Dextran Sulfate SodiumInduced Colon Cancer in C57BL/6J Mice

Hyun Ah Lee1, Hyunung Kim2, Kwang-Won Lee1 & Kun-Young Park3,4*

1Department of Biotechnology, College of Life Science and Biotechnology, Korea University, Seoul 02856, Republic of Korea

2Biogenics Korea Co., Seoul 06628, Republic of Korea

3Chongqing Collaborative Innovation Center for Functional Food, Chongqing University of Education, Chongqing 400067, People’s Republic of China

4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Cha University, Gyeonggido 13488, Republic of Korea

 

본 연구는 azoxymethane (AOM)/dextran sulfate sodium (DSS)로 대장암이 유도된 C57BL/6J 마우스 모델에서 유산균 사균체 Lactobacillus plantarum (nLp)를 첨가한 김치의 화학 예방 특성 향상을 확인하였다. nLp는 크기가 0.5~1.0 μm로 김치에서 분리한 Lab. plantarum을 나노 및 사균화 처리한 형태이다. nLp가 들어간 김치를 섭취시킨 마우스(K-nLp)의 대장 길이는 김치만 먹인 마우스(K)보다 길었으며, 대장 무게/길이의 비율이 감소하였고 대장 조직에서 종양 개수도 감소하였다. 또한, K-nLp를 섭취시킨 마우스는 혈청 내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수준을 감소시켰고 염증, 세포자멸사 및 세포주기 마커의 mRNA 및 단백질 발현을 조절하여 염증을 억제하여 암세포의 세포사멸 및 세포주기 정지를 유도했다. 뿐만 아니라, K-nLp를 섭취한 마우스의 NK 세포 활성을 증가시켰다. 본 연구를 통해 김치에 nLp를 첨가하면 AOM/DSS로 유발된 대장암에 대한 억제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발견은 nLp가 식품 산업에서 기능성 소재로써의 잠재적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Key words: dietary nanosized Lactobacillus plantarum, kimchi, colitis-associated colorectal cancer, C57BL/6J mouse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