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으로부터 시작되는 토탈 웰빙 라이프
Holistic Wellness
Dextran sulfate sodium으로 대장염을 유발한 마우스 모델에서 김치 유래 열처리 유산균 Lactobacillus plantarum의 효과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2-11-14 16:54
조회
60
Dextran sulfate sodium으로 대장염을 유발한 마우스 모델에서 김치 유래 열처리 유산균 Lactobacillus plantarum의 효과
이현아1,2, 봉연주3, 김현웅4, 정지강3, 김희영3, 이광원2, 박건영1,3
1부산대학교 김치연구소, 2고려대학교 생명공학과, 3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4바이오제닉스코리아(주)
Effect of Nanometric Lactobacillus plantarum in Kimchi on Dextran Sulfate Sodium-Induced Colitis in Mice
Hyun Ah Lee1,2, Yeon-Ju Bong3, Hyunung Kim4, Ji-Kang Jeong3, Hee-Young Kim3,
Kwang-Won Lee2, and Kun-Young Park1,3
1Kimchi Research Institute and 3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2Division of Food Bioscience and Technology, College of Life Science and Biotechnology,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4Biogenics Korea Co., Ltd., Seoul, Korea
유산균 사균체 Lactobacillus plantarum (nLp)은 김치에서 분리된 Lab. plantarum으로 크기는 0.5~1.0μm이다. 이 연구는 dextran sulfate sodium (DSS)으로 대장염을 유발한 마우스 모델에서 nLp와 nLp를 첨가한 김치(K-nLp)에 대한 대장암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nLp 또는 K-nLp를 섭취한 마우스의 대장이 DSS만 섭취한 대조군보다 길었으며 대장 무게/길이의 비율은 낮게 나타났다. 또한, nLp 또는 K-nLp를 섭취한 마우스의 혈청 및 대장 조직에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및 염증관련 인자의 유전자 발현이 억제되었다. 또한, 마우스 분변 내 총 박테리아수는 감소시킨 반면, 유산균의 수는 더 증가시켰으며, 분변 내 유해효소인 β-glucosidase와 β-glucuronidase의 활성을 감소시켰다. 게다가, 이러한 nLp의 대장염 억제 효과는 생균인 Lab. plantarum과 동일하거나 더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nLp의 대장염 억제효과를 확인하였으며, 김치에 nLp를 첨가하였을 때 DSS로 인한 대장염 억제 효능을 더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nLp가 살아있는 프로바이오틱스의 효과적인 대체 물질이 될 수 있으며 프로바이오틱스 및 식품 가공 산업에서 항 대장염 활성을 갖는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Key words: anticolitis, Balb/c mouse, kimchi, nanometric Lactobacillus plantar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