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으로부터 시작되는 토탈 웰빙 라이프

Holistic Wellness

논문

김치의 과민성 장 증후군 개선 효과 : 무작위배정, 이중눈가림, 위약대조 임상시험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2-11-15 14:44
조회
80

김치의 과민성 장 증후군 개선 효과 : 무작위배정, 이중눈가림, 위약대조 임상시험

김희영1, 박의성2, 최영식3, 박승자3, 김재현3, 창희경4, 박건영5,6

1부산대학교 한의학연구센터, 2유한양행 R&D 센터

3고신대학교복음병원 내과, 4고신대학교복음병원 병리학부,

5차의과학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6충칭대학교 충칭기능식품협력혁신센터

 

Kimchi improves irritable bowel syndrome: results of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Hee-Young Kim1, Eui-Seong Park2, Young Sik Choi3, Seun Ja Park3, Jae Hyun Kim3, Hee Kyung Chang4 and Kun-Young Park5,6*

1Korean Medicine Research Center for Healthy Ag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Yangsan, Gyeongsangnam-do, Republic of Korea

2Yuhan Care R&D Center, Yongin, Gyeonggi-do, Republic of Korea

3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osin University Gospel Hospital, Kosi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Busan, Republic of Korea

4Department of Pathology, Kosin University Gospel Hospital, Kosi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Busan, Republic of Korea

5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Cha University, Seongnam, Gyeonggi-do, Republic of Korea

6Chongqing Collaborative Innovation Center for Functional Food, Chongqing University of Education, Chongqing, China

 

배경: 과민성 장 증후군(IBS)은 비정상적인 배변, 뇌-장 축의 변화, 장내미생물 균총의 변화, 낮은 수준의 염증 또는 면역 활성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섬유질과 유산균이 많이 함유된 음식을 섭취하면 IBS를 완화시킬 수 있다.

목표: 본 연구는 김치가 IBS 증상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설계: 3종류의 김치(표준 김치, SK; 유산균 사균체 Lactobacillus plantarum nF1 (nLp)을 첨가한 김치, nLpSK; 또는 기능성 김치, FK)를 각 군당 30명씩 3개의 군으로 나눠(SK 군(n=30), nLpSK 군(n=30), FK 군(n=30)) 210g을 12주 동안 섭취하게 하였다, 12주의 실험 기간 동안 식이조사, 혈청 내 염증 인자 수치, 분변 내 유해 효소 수치 및 마이크로바이옴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결과: 실험 시작 후 모든 그룹에서 식이섬유 섭취량이 증가하였습니다. 대표적인 IBS 증상(복통 및 복부불편감, 절박감, 잔변감. 복부팽만감)과 배변 시간, 대변의 형태가 개선되었다. 모든 군에서 혈청 내 TNF-α(p<0.001) 수준이 감소하였다. 또한 nLpSK 및 FK 군에서의 혈청 내 IL-4(p<0.001), IL-10(p<0.001), IL-12(p<0.01) 수준이 감소하였으며, nLpSK 군에서는 혈청 내 단백질인 MCP-1(p<0.05)의 수준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그리고 분변 내 β-glucosidase 및 β-glucuronidase의 활성은 3개의 군에서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nLpSK 군에서 가장 많이 감소하였다.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결과 김치를 섭취하면 Bacteroidetes와 Tenericutes는 감소하였으나 Firmicutes는 증가하였다. 게다가 Bifidobacterium adolescentis은 FK 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26).

결론: 김치의 섭취는 식이섬유 섭취량을 증가시키고 혈청 염증성 사이토카인 수치와 분변 내 유해효소를 감소시킴으로써 IBS를 완화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특히, nLp는 면역 체계를 개선시켰으며 FK의 기능성 성분들이 장 내 Bifidobacterium adolescentis을 증가시킨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ey words: kimchi, irritable bowel syndrome (IBS), lactic acid bacteria (LAB); Lactobacillus plantarum nF1, microbiome, gut, clinical study





Scroll to Top